728x90
1. Git Bash 설치 방법
- 다운로드
- Git 공식 웹사이트(https://git-scm.com)에서 Windows용 Git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 설치 프로세스
-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실행한다.
- 설치 중 'Select Components' 창에서 "Git Bash Here"를 선택하여 Windows 탐색기 메뉴에 통합한다.
- 'Adjusting your PATH environment' 창에서 "Use Git from the Windows Command Prompt" 또는 "Use Git and optional Unix tools from the Command Prompt"을 선택할 수 있다. 후자를 선택하면 Windows 명령 프롬프트에서도 Unix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 설치 확인
- 설치가 완료된 후, 시작 메뉴에서 'Git Bash'를 검색하고 실행하여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
2. Git 설정 파일 (.gitconfig) 관리
1) .gitconfig 파일의 위치
Git 설정 파일은 전역(Global) 또는 로컬(Local)로 저장될 수 있다.
- 전역 설정 파일: ~/.gitconfig (홈 디렉터리)
- 로컬 설정 파일: 프로젝트별 .git/config
전역 설정은 모든 Git 프로젝트에 적용되며, 로컬 설정은 특정 프로젝트에만 영향을 준다. 같은 설정이 존재할 경우, 로컬 설정이 전역 설정을 덮어쓴다.
2) Git 사용자 정보 설정
Git을 사용할 때 커밋 기록에 저장될 사용자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3) 전역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email@example.com"
이 설정은 ~/.gitconfig 파일에 저장된다.
4) 로컬 설정
cd /path/to/repo
git config --local user.name "Project Name"
git config --local user.email "project.email@example.com"
이 설정은 해당 Git 저장소의 .git/config 파일에 저장된다.
3. .gitconfig 파일 직접 수정하기
~/.gitconfig 파일을 직접 열어 설정을 수정할 수도 있다.
[user]
name = Your Name
email = your.email@example.com
수정 후 변경 사항을 적용하려면 Git을 다시 시작하거나 새로운 터미널을 열면 된다.
4. git bash 명령어
pwd - 현재 작업 위치를 표시해라
pwd
틸드 - 나만의 공간 최상위
숨긴 파일까지 모든 파일을 보여줘라
ls -a
파일과 폴더 명 앞에 “.” 이 있는것은 숨김파일(폴더)의 의미이다
ls -l - 상세 정보보기
ls -l
ls -al 한줄 한줄 보여주세요
ls -al
cd 이동 명령어
cd 디렉토리명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
디렉토리 만들기 mkdir
mkdir test
tourch : 파일 만들기
touch testfile
mv api.md bin: api.md파일을 bin 파일로 옮겨라
mv api.md bin: api.md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삭제
rm *
bin 디렉토리의 모든 것을 삭제
rm -rf bin
5. 깃이그노어 .gitignore
.gitignore
참고 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
6. git 프로파일 꾸미기
참고 - 프로파일 꾸미기 위한 사이트 (이곳에서 만들어 복사하여 github README.md 에디트 화면에 붙여 넣는다.)
7. git 에서 'HEAD' 의미
마지막(최근 작업)을 의미
8. git 유저 / 업로드 설정
1) 현재 위치에서 지역 저장소를 생성
$ git init
2) 깃 환경에서 사용자 이름을 [사용자명]으로 지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명]"
3) 깃 환경에서 사용자 이메일을 [사용자이메일명]으로 지정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이메일명]"
4) 깃의 상태를 확인
$ git status
9. 브랜치 branch 명령어
1) 새로운 브랜치 [브랜치명]을 생성
$ git branch [브랜치명]
- 브랜치 조회하기
$ git branch
2) [브랜치명]으로 체크아웃(이동)
$ git checkout [브랜치명]
$ git checkout -b [브랜치명] # 브랜치만들고 바로 이동
- 브랜치 삭제
$ git branch -d 브랜치명
3) 커밋 로그에서 한 줄에 한 커밋씩 출력
$ git log --oneline
4) 수정한 전체 파일을 스페이지에 올린다.
$ git add .
5) 커밋 로그에 각 브랜치의 커밋을 그래프로 표시
$ git log --branches --graph
6) [브랜치명]을 master 브랜치와 병합 //
$ git merge [브랜치명]
$ git merge [브랜치명] --edit // 병합 후 바로 vi 편집기가 나오면서 커밋 메시지 수정 가능
$ git merge [브랜치명] --no-edit // 커밋 메시지 수정없이 바로 병합
7) merge 취소하기
$ git merge --abort
10. git 에서 gitHub 저장소 연결하고 작업하기
git clone
git add
git commit
git push
git clone 마우스 우클릭 ‘붙여넣기’(git clone 주소 넣기)
git의 repo 이름으로 된 디렉토리에 넣지 않고 다른 디렉토리를 만들어 넣으려면 clone 뒤에 디렉토리 이름을 넣으면 된다.
예)
git clone 주소(url)
git add 파일이름
git add main.py
git add main.py
git commit
git commit
git push
git push
git branch fizz
git branch
git switch fizz
git branch
git merge fizz
11. commit 명령어
1) [파일명.확장자명]을 스테이지에 올림
$ git add [파일명.확장자명]
2) 커밋 메시지 [메시지명]을 붙여 커밋
$ git commit -m "[메시지명]"
3) 메시지 [메시지명]을 붙여서 스테이징과 커밋을 동시에 진행
$ git commit -a -m "[메시지명]"
4) 커밋 내역 확인
$ git log
$ git log --pretty=oneline # 한줄로 표기하기
- 특정 커밋 내역 확인
$ git show [커밋 id]
5) 최근 버전과 작업 폴더의 수정 파일 사이의 차이를 출력
$ git diff
$ git diff [이전커밋 id] [이후커밋 id]
6) 지정한 커밋 해시로 이동
$ git checkout [커밋 해시]
7) 가장 최근 커밋을 취소
$ git reset HEAD^ # 현재 HEAD의 이전 커밋으로 되돌리기
$ git reset HEAD~n # 현재로 부터 n 번째 이전 커밋으로 되돌리기
8) 지정한 커밋 해시로 이동하고 커밋을 취소
$ git reset [커밋 해시]
- reset의 3가지 옵션
$ git reset --soft [커밋ID] # head 만 바뀜
$ git reset --mixed [커밋ID] # staging 도 그 때로 바뀜
$ git reset --hard [커밋ID] # working디렉토리/staging 모두 그 때로 바꿈
9) 지정한 커밋 해시의 변경 이력을 취소
$ git revert [커밋 해시]
10) 커밋 수정하는 법
파일 수정 한 뒤
$ git add .
$ git commit --amend : 최신 커밋 수정
12. git hub 원격 저장소
1) 원격 저장소에 연결
$ git remote add origin [github 레포지 주소]
$ git remote add origin [branch 이름] #없으면 생성됨
2) 원격 저장소에 연결됐는지 확인
$ git remote -v
3) 지역 저장소의 커밋을 맨 처음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경우
$ git push -u origin master
4) 3번을 한 후에 지역 저장소의 커밋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경우(업로드)
$ git push
$ git push origin master
5) 원격 저장소의 커밋을 지역 저장소로 가져옴
$ git pull
$ git pull origin master
6) SSH 키를 생성함
$ ssh-keygen
7)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첫번째 커밋이 아니라면 풀 먼저하기
$ git remote remove origin
원격 저장소를 [지역저장소명]에 복제하기
첫번째 커밋이 아니라면 풀 먼저하기
$ git remote remove origin
원격 저장소를 [지역저장소명]에 복제하기
$ 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8) 원격 저장소의 커밋을 가져오기만 하고 merge하지 않는다
가져온 branch 내용은 origin/[브랜치] 로 저장됨
가져온 branch 내용은 origin/[브랜치] 로 저장됨
$ git fetch
이후엔 diff 로 비교
$ git diff test origin/test # 브랜치 이름이 test일 경우 예시
9) 패치로 가져온 정보가 있는 브랜치\[FETCH\_HEAD\]로 이동
```git
$ git checkout FETCH_HEAD
10) 패치로 가져온 정보가 있는 브랜치[FETCH_HEAD]를 master 브랜치에 병합한다
$ git merge FETCH_HEAD
11) [브랜치명]을 만드는 것과 동시에 체크아웃한다
$ git checkout -b [브랜치명]
12) 원격 저장소에 [브랜치명]의 브랜치의 커밋을 올린다
$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13) 원격저장소 삭제
$ git remote remove origin
13. 파일/보관 명령어(stash)
1) 파일 내용 출력
$ cat [파일명.확장자명]
2) 디렉토리를 만드는 동시에 지역저장소 생성
$ cd init [디렉토리명]
3) 현재 커밋을 다른 브랜치에 있는 [커밋메시지] 커밋으로 되돌림
$ git reset [커밋메시지] [커밋해시]
4) 병합이 끝난 [브랜치명]을 삭제
$ git branch [브랜치명] -d
5) 작업 트리의 수정 내용 stash에 따로 보관하기
$ git stash
$ git stash save
6) 보관한 내용을 목록을 출력
$ git stash list
7) 보관한 내용을 적용
$ git stash apply
$ git stash apply stash@{1}
8) 보관한 내용 중 가장 최근 항목을 삭제
$ git stash drop
$ git stash drop stash@{1}
9) stash를 apply하고 제거(drop) 하기
$ git stash pop
14. 기타 명령어
1) 긴 명령어 짧게 이름 붙여 사용하기
ex) git log --pretty=oneline을
->git history 라는 별명으로 바꾸기.
ex) git log --pretty=oneline을
->git history 라는 별명으로 바꾸기.
git config alias.[별명] '원하는 명령어'
git config alias.history 'log --pretty=oneline'
2) tag 설정 하기
$ git tag [태그이름][커밋 ID]
$ git tag Version_2 86a99 # tag 달기
$ git tag #tag 조회하기
$ git show Version_2
15. vi / vim 편집기 사용
vim에서 i 클릭하면 왼쪽 아래에 insert , 모드 변경시 esc
vi 파일명 -> 명령모드진입 -> i 또는 a로 입력모드 진입
-> 작성 및 수정완료한 뒤 -> esc로 명령 모드진입
-> 콜론(:)으로 마지막 행 모드 진입 -> 저장(w), 종료(q), 취소(i), 저장 후 종료(wq)
-> 콜론(:)으로 마지막 행 모드 진입 -> 저장(w), 종료(q), 취소(i), 저장 후 종료(wq)
vi 파일명
vi 파일명
728x90
728x90
'▷ 문제 해결하는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설치 및 환경 설정하기 (1) | 2025.07.30 |
---|---|
Front-end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설치 (0) | 2022.03.08 |